2009. 9. 19. Sat ~ 2009. 9. 20. Sun


나는 이별에 서툴다. 

아니, 어쩌면 만남에 서투른 지도 모른다. 

만나서 마음을 여는 데 오래 걸리니

다시 마음을 접어야 할 때 망설이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여행이란, 
여행에서 어떤 도시와 나라를 만나는 것은

늘 마음을 접어야 할 이별의 시간이 
정해져 있는 법이다. 

(직장을 때려치우고 무기한 
세계여행을 떠나지 않는 한 그럴 것이다.)


여행기를 정리하면서, 
지금까지 줄곧 ‘리스본’이라는 영어식 표현을 썼다. 

하지만 현지 사람들은 리스보아(Lisboa)라고 부른다. 

살짝 스치듯, 안으로 궁글리는 소리로 
‘...보아’라고 끝나는, 

리스보아, 의 발음을 듣고 있으면

왜 포르투게스를 유럽어 중에 
가장 발음이 아름답다고 하는지 이해가 된다. 


여행 아흐레째가 되어서야, 
이렇게 떠날 때쯤이 되어서야 

리스본은 ‘리스보아’가 되고 
‘Thank you’는 ‘오브리가두(Obrigado)’가 되며

‘Bye’는 ‘아데우시(Adeus)’로 탈바꿈하는 것이다. 


포르투를 떠나 리스본으로, 

다시 이튿날이면 서울로 향하는 비행기에 몸을 실어야 하는,

포르투의 마지막 날. 




포르투에서 출발한 열차는, 

리스본의 아폴로니아 역으로 향한다. 



그리고 리스보아에서의 마지막 날

무엇을 할까 고민하다가, 

그냥 트램에 몸을 싣고 멍하게 시내를 돌아다녔다. 

가끔은 미처 구경하지 못한 곳이 눈에 띄면

얼른 내려 잠시 산책을 하기도 하고.






그리고 다시 발길은 아우구스타 거리와 

코메르시우 광장을 향한다.  




포르투갈, 그리고 아프리카. 

아프리카에서 건너왔을 것이 분명한 청년 두 명이

어느 박물관의 Africa 전시회 광고 문구 앞에서 
누군가와 통화를 하고.




산타 주스타의 엘리베이터와 골목에도 

기울어가는 햇살이 드라마틱한 빛을 던져주고 있었다. 



왠일인지 약국 간판에는 온도계가 설치돼 있고.



누군가의 낙서는 사람들에게 실없는 웃음을 던져주는 곳.



그리고 문화와 문화가 만나고 

사람과 사람이 만나 

새로운 예술을 창조하는 곳 역시,

리스보아다.




그리 크지 않은 광장에

밤이 되자 사람들이 모여들고.




아쉬운 밤은 그렇게 지나갔다. 


일요일 아침 8시 비행기. 

호텔 숙박비에 포함된 
조식의 기쁨도 누리지 못한 채 공항으로 향한다. 


아마 내가 포르투갈을 처음으로 접한 건, 

어릴적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를 읽었을 때였을 것이다. 

제제가 많이 따랐던 (그러나 사고로 숨진) 아저씨가 
포르투갈 출신이었고,

그래서 별명이 ‘뽀르뚜까’였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파두를 듣다가 갑자기 떠나고 싶어져서, 

그리고 유럽의 최서단에 위치한 호까곶에서

대서양을 바라보고 싶어 갔던 포르투갈. 


열흘의 일정은 그렇게나 빨리 흘러갔다. 

그리고 내게 남은 것은 

3,000여장의 사진과 어느덧 희미해져 가는 기억,

그리고 몇가지 기념품들 뿐. 




나는 여전히 이별에 서툴다. 

떠나온 지 두달도 더 된 이 나라에 

여전히 미련과 아쉬움이 많이 남았는가 보다. 

여행기가 이리도 오래 걸린 이유에는

내 게으름도 한몫 했지만, 

작별의 타이밍을 잘 찾지 못하는 

내 성정도 큰 몫을 차지할 것이다. 


언젠가 시간이 허락한다면 

이 낯선 매력으로 가득한 나라에서

1년쯤 머물렀으면 좋겠다. 

그러면 리스본과 포르투,

그 골목길들에 두고 온 마음도

다시 만나볼 수 있으리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