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9. 15. Tue. 


신트라 궁에서 무어인의 성을 올라가는 건

사실은 바보 짓이다,

나는 잘 몰라서 그렇게 했지만.


신트라를 편하게 구경하려면 

페나 궁 - 무어인의 성 - 신트라 궁의 순서로 
돌아보는 게 낫다. 

왜냐하면, 위의 순서가 높이의 순서이기 때문이다. 

당연히 아래에서 올라가느니 
위에서 내려오는 게 편한 법이다. 


더군다나 내 경우, 

사람들이 많이 찾는 무어인의 성 정문(?)이 아니라

뒷길인 산길(산타 마리아의 길)을 통해 가는 바람에

왼쪽 무릎의 관절염이 도질 뻔 했다. 


하지만 여행은 모름지기 길을 잃는 것, 

길을 잃어보지 않았다면 제대로 여행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길을 잃을 때에야 비로소 

다른 이들이 보지 못하는 것들을 보게 되기 마련.



글쎄, 약수터라고 해야할까?

이렇게 물을 받고 있는 풍경이 낯설지 않아

셔터를 누른다, 소심하게.

이방인의 눈이 신경 쓰이는 건 저들도 마찬가지.

서로 힐끔힐끔거리는 모습이 아마 
제3자가 보기에는 좀 웃겼을 터.


그리고 이 약수터를 끼고 오른편으로 올라가면

아래와 같은, 
산타 마리아 산책로의 입구가 나온다. 

아치 모양의 입구 안쪽에는 
나무로 만든 일종의 회전문이 나오는데, 

이 회전문의 기원이 언제적인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 



그리고 산책로(라기보다는 산길)에는 

우리나라의 산길에 각종 산악회에서 길을 표시해놓는

리본이 나뭇가지마다 달려있듯이, 

길을 안내하는 독특한 표기법이 눈에 띈다.

아래와 같이 “=” 표시이면 이 길이 맞다는 것이고,

x자로 표기되어 있으면 길이 아니라는 표시.

그리고 아랫쪽의 빨간 줄이 "┌" 모양이면 왼쪽, 

"┐" 모양이면 오른쪽 길이라는 표시. 

단순명료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길을 한 번 잃은 나는... 
할 말 없음이다.)



그리고 이 길을 오르다 보면 

아래와 같은 장면, 

즉 유적 발굴 및 복원 작업을 하는 장면들을 마주치게 된다. 

역사가 오랜 만큼 

여전히 무어인의 성은 탐구의 대상인 것.



아무튼 한참 산길을 올라 
드디어 무어인의 성(Castelo dos Mouros)에 도달한다.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성은 

포르투갈을 점령한 무어인들에서 비롯되었다. 

물론 지금의 성은 19세기에 리노베이션을 거친 것이라고.

이를테면 크리스트교 세계와 아랍 세계의 

문명의 충돌이 빚어낸 걸작이라고나 할까.





이 성이 독특한 것은 

큰 바위들을 제거하고 터를 닦아 세운 것이 아니라

그대로 놔둔 채 
지형지물을 성의 일부분으로 이용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실 놀라운 것은 

이 성을 쌓은 사람들도 대단하지만 

이 성을 공격해 빼앗은 사람들도 참 대단하다는 것. 

그만큼 만만치 않은 높이에

만만치 않은 경사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탑에서 탑으로 걸어가면서 

그 경치에 황홀해 진다. 

아울러 탑마다 제각각 깃발이 나부끼고 있는데, 

각각의 깃발은 과거 포르투갈의 왕들을 상징한다고 한다. 



아래의 깃발은

‘신트라’를 아라비아 글자로 표기한 것. 

이 성의 기원을 확실히 보여주는 셈이다. 




그리고 아르누보의 장식처럼 

이국적으로 생긴 이 나무 역시 

남쪽 어딘가에서 건너왔을 법하다. 



그리고 멀리, 
페나 궁전의 실루엣이 보인다. 

(광각렌즈로 찍어서 더 멀리 느껴지는 탓도 있지만.)




여행 일정이 번거롭다고 빼놓기에는 너무나 아름다운 곳,

무어인의 성을 뒤로 하고

이제 동화속 공주가 사는 곳과도 같은

페나 궁으로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성곽의 사진 두 컷 추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