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9. 13. Sun.


아줄레주(Azulejo). 

얼핏 생각하면 푸른색을 뜻하는 
Azul과 관련이 있을 것 같고 

또 타일 중에 대다수가 
푸른색 단색으로 이뤄져있어 혼동이 있을 수 있지만,

(더군다나 포스트 제목을 선정적으로 뽑기 위해 
나조차도 ‘푸른 바다’ 어쩌고 했지만) 

엄연히 이 단어는 Azul과는 관계가 없는,

아랍으로부터 유래한 단어다.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온 무어인 점령시대 이후 

아랍의 문화는 이 나라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그 단어의 유사성으로 인해, 

단어가 수입된 이후 작품 제작에는 
푸른색이 많이 반영됐을 수도 있겠다.

추측에 불과하지만.)


포르투갈 현지의 설명을 들여다보면 다음과 같다.



사실 포르투갈의 어디서나 
이 타일 조각들을 마주치게 된다. 

건물의 내부장식은 물론이고 외장재로도 사용되며,

옛 건축물 뿐만 아니라 
요즘의 건물에서도 응용하고 있어서, 

그야말로 ‘타일 천국’이다. 


그 중에서도 다양한 시대의 아줄레주를 
한 곳에서 감상할 수 있는 곳이, 

바로 국립 아줄레주 박물관(Muceu Nacional do Azulejo)이다.
‘마드레 데 데우시’ 성당을 개축한 건물이라고.


이렇게 캔버스처럼 장방형으로 제작된 것도 있지만, 
아래 장식물처럼 복도에 노출된 것도 있다. 




솔직히 말하자면
(포르투갈 사람들에게는 미안한 말이지만)
근거리에서 보면 조잡해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타일들이 모여
하나의 대형 시각 작품이 되는 걸 본다면,
왜 포르투갈의 대표적인 전통예술로 
아줄레주를 꼽는 지 얼핏 이해도 된다. 


박물관 자체가 하나의 성당이었기 때문에, 
이런 공간의 묘미도 만끽할 수 있다.



아줄레주에 그려진 작품들은 
그 시대가 1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기에 
성화(聖畵)부터 자연주의 화풍의 전원풍경, 
궁정의 풍경을 비롯해 
일상적인 삶의 모습까지 참으로 다양하다. 

하지만 그래도 가장 인상적인 것은
현대의 예술가들이 재해석해낸 아줄레주.


특히 아래 작품은 
색채의 단순하지만 미묘한 변화와
형태의 단순함을 통한 
타일의 물성에 대한 강조가 인상적인 작품이었다.



마지막은 
리스본 시가를 지도 형태로 구현한 작품.


아줄레주는 이것으로 마무리하지만, 
앞으로 리스본 시내나 특히 포르투(Porto)의 사진에서
줄곧 나올 예정이다. 
그만큼 흔하고 대표적인 예술이기에.

사족을 하나 붙이자면, 
첫날 벨렝지구와 아줄레주 박물관을 
함께 둘러본 건 나의 실수다.
여행의 동선 치고는 무척이나 비효율적이었다.
(시내 중심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해 있다.)

이로서 대충 얼떨떨한 상태에서의 리스본 첫날은 
어느새 저녁을 향해 가고 있었다.
 

 


+ Recent posts